1분 상식_Box
[1분 역사 상식] 세종대왕은 왜 한글을 만들었을까?
닥터박스
2025. 4. 26. 22:20
728x90
우리가 매일 쓰는 한글, 처음부터 있었던 게 아니었다?
지금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쓰는 한글,
하지만 불과 600여 년 전까지만 해도
백성들이 자신의 말을 글로 쓰는 것조차 어려웠던 시대였습니다.
1443년, 조선의 네 번째 왕 세종대왕은
백성을 위한 새로운 문자 창제를 결심합니다.
그 이유는 단순한 ‘왕의 업적’이 아닌,
당대 조선 사회의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적 필요에서 비롯된 것이었어요.
✨ 훈민정음 창제의 진짜 이유
📖 《훈민정음해례본》 서문에 적혀있는 의미를 현대어로 적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니,…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하여금 쉬이 익혀 날로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쉽게 말하면,
- 조선 사람들의 말(음운)은 중국 문자(한자)와 다르기 때문에
- 한자로는 우리말을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웠고,
- 백성들은 글을 배우기 어렵고, 써먹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는 것.
👉 그래서 백성이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들기로 한 겁니다.
👑 세종대왕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을까?
당시 조선의 현실세종대왕의 문제의식
한자 위주의 문맹 사회 | 백성들이 글을 몰라 억울한 일을 겪음 |
과거 시험과 관료 체계 모두 한문 기반 | 양반만 글을 배우고 기득권 유지 |
백성은 자신의 말도 기록하지 못함 | 말과 글이 따로 놀아 문화적 단절 |
💡 훈민정음은 단지 문자가 아닌 ‘문화적 인권 회복’의 수단이었습니다.
📌 한글 창제의 의의
- 과학적 원리 기반: 자음은 발음 기관 모양, 모음은 천·지·인의 철학 반영
- 언어 평등 실현: 계층과 관계없이 누구나 말과 글을 일치시킬 수 있게 됨
- 문화 독립성 강화: 중국 한자 중심의 문화에서 자립적인 언어 체계 확립
📝 오늘의 역사 한 줄 상식
“한글은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백성을 위한 세종의 ‘정치적 결정’이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