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ox Planet 499

[추천 곡] 듣는 편지 - 40 (가사, 코드 악보)

듣는 편지 가수 : 40 (포티) 발매 : 2013년 40(포티)의 '듣는 편지' 입니다. 많이 유명한 가수는 아니지만 아는 사람들은 다 아는 실력파 싱어송 라이터 입니다. 노래도 잘하고 작사 작곡 능력 모두 뛰어난 가수입니다. 40(포티)의 노래 중 가장 유명한 곡인 '듣는 편지'를 추천 합니다. 가사도 좋고 쌀쌀한 날씨에 어울리는 곡 입니다. 하지만 부르기는 어려워요... ㅠㅠ 코드 악보는 원키와 A키(-3키)로 바꾼 코드를 올렸습니다. 코드는 원키와 A키(-3키)로 수정한 코드를 같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자신의 음역대와 어울리는 코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추천 곡]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 한동근 (가사, 코드 악보)

제목 :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가수 : 한동근 발매 : 2014년 한동근의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입니다. 2014년도에 발표된 곡이지만 작년(2016)에 빛을 본 대표적인 역주행 곡 입니다. 한동근의 부드러운 허스키???한 목소리가 곡의 느낌을 한층 더 살리고 있습니다. 오디션 프로 우승자 출신이지만 인기를 얻지 못하다가 듀엣가요제에 정인 대신 출연 하면서 우승을 차지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가 차트를 역주행하게 된 이유입니다. 원키 코드는 죄다 하이코드라서 기타로 연주 하기가 좀 버거워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키 낮춘 코드를 같이 올렸습니다. 코드는 원키와 -1키로 수정한 코드를 같이 올리도록 하겠습..

[경제] 분식회계

분식회계 ? 글로벌 경쟁시대가 가속화하면서 재벌기업들을 비롯한 기업들의 투명성이 점차 확보되고 있다. 여기에는 문민정부 이후 정부와 검찰의 노력이 한몫을 거들었다. 경영실적을 속이던 기업들이 된서리를 맞은 것이다.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대우그룹이다. 대우그룹 김우중 전 회장은 무려 41조 원대에 달하는 분식회계를 저지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대우그룹 제무제표만 믿고 거액의 자금을 대출해 준 금융기관은 물론 투자자와 대다수 국민들이 큰 손실을 피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영 투명성 노력에 거꾸로 가는 기업들이 아직도 많다. 분식회계를 함으로써 국민과 금융기관, 나아가 국가를 속이고 있다. 분식회계는 기업이 재정 상태나 경영 실적을 실제보다 좋게 보이게 할 목적으로 부당한 방법으로 자..

Study_Box/경제 2017.02.06

[경제] 모럴해저드(moral hazard, 도덕적해이)

모럴해저드(moral hazard), 비윤리적 경제 행위 1. 중고차시장에서 한 소비자가 차를 골랐다. 하지만 매매 상인은 중고차의 고장 부분을 말하지 않았다. 이러한 매매상인의 상술이 알려지면서 사람들의 신회는 떨어졌고 중고차는 거래될 수 없었다. 2. 보험가입자가 보험에 가입하면서 자신의 질병을 솔직하게 말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보험금의 과다 지출로 사람들의 보험료가 오르게 됐다. 또한 보험의 혜택이 필요한 사람들은 그 혜택을 받기 힘들어졌다. 3. 일부 국회의원들이 부당한 돈을 받아 뉴스에 연일 오르내리고 있다. 법을 만들고 솔선수범해서 지켜야 할 국회의원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실망감은 매우 컸다. 4. 회계법인이 기업의 부실을 덮어줘 문제가 되고있다. 회계법인의 의무는 기업의 회계를 감시하는 것이..

Study_Box/경제 2017.02.05

[재료역학] 개념정리#1. 기본 용어

1. 재료역학 물질에는 기체, 액체, 고체, 세 가지 상태가 있습니다. 기체, 액체는용기에 담겨 있지 않고서는 스스로 위치와 모양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고체는용기에 담겨 있지 않아도 스스로 위치와 모양을 유지합니다. 이처럼 고체의 가장 큰 특징은 스스로 자신의 위치와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재료(고체)역학은 외부의 작용에 의한 고체의 위치와 모양의 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모양의 유지가능 여부를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재료(고체)역학에서 고체의 운동, 변형과 안정성을 표현할 때에는 변위, 변형률, 응력을 사용합니다. 즉 재료(고체)역학은 여러가지 종류의 하중을 받는 재료에 나타나는 응력, 변형, 변형률 등을 고려하여 재료의 안전성 여부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2. 하중2-1 정의기계,..

Study_Box/공학 2017.02.05

[경제] 금본위제도 란?

금을 화폐로 사용하는 금본위제도 금을 화폐로 사용하는 금본위제도(Gold standard system)란 쉽게 말해 금을 화폐로 사용하는 제도를 말한다. 금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그 가치가 인정되기 때문에 국제통화로도 통용될 수 있다. 과거에는 금으로 만든 금화를 직접 사용하거나 대대는 중앙은행이 실제로 보관하고 있는 금의 양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화폐를 발행하고 이 화폐를 언제든지 금으로 교환해 주었다. 즉 화폐가 금 보관증 같은 기능을 했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국가 간 거래에서는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던 금을 찾아서 지급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제도에서 중앙은행들은 보유하고 있는 금 이상으로 화폐를 발행할 수 없었다. 금본위제가 처음 시행된 것은 1816년 영국이 금을 유일한 화폐로 ..

Study_Box/경제 2017.02.05

[추천 곡] 리본 - 비스트 (가사, 코드 악보)

제목 : 리본 가수 : 비스트 발매 : 2016년 비스트의 '리본'이라는 곡 입니다. 처음에 듣고 노래가 너무 좋아서 계속 찾아 들었어요. 그러다가 [이슬라이브]라고 가수들이 술자리에서 라이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영상을 봤습니다. 기타 반주로 부르는 '리본'도 참 좋았습니다. 아래의 영상이 [이슬라이브]영상 입니다. 여기서는 원키보다 -1키로 노래를 했네요. 그래서 코드 악보는 원키와 -1키로 바꾼 코드를 같이 올렸습니다. '리본'은 12/8 박자입니다. 그래서 3박자 리듬으로 연주를 하셔야 합니다. 원키 코드가 연주하기에는 더 편하겠네요. 그래도 자신의 키에 맞는 코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코드는 원키와 -1키로 수정한 코드를 같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자신의 음역대와 어울리는 ..

[추천 곡] 너에게 - 김광석 (가사, 코드 악보)

제목 : 너에게 가수 : 김광석 발매 : 1993년 김광석의 '너에게' 입니다. 김광석 20주기 추모 앨범 '김광석, 다시' 에서 로이킴이 같이 불렀습니다. '김광석의 목소리X현대적 편곡'의 컨셉으로 제작한 앨범이라 로이킴과 듀엣으로 편곡된 곡은 현대적인 분위기가 많이 납니다. '너에게'는 김광석 님의 숨겨진 명곡 중에 하나입니다. 기타 반주를 할 때 코드진행이 피아노 반주에 비해 영 어울리지 않아서 생전에 공연에서 많이 부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곡을 추천하고, 많은 분들이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원키] D Am7 D Am7나의 하늘을 본 적이 있을까 조각구름과 빛나는 별들이 G Gm/Bb D D7 G A7/G F#m7 Am/C B7 Em C A7끝없이 펼쳐있는 구..

[경제] 국민소득 이란?

높아질수록 배불러지는 [국민소득] 국민소득이란 생산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생산 활동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GNP라는 양을 계산한다. 1년 동안 국민이 생산한 것을 중간 생산물이 겹치지 않도록 제외하고 총합한 것이 GNP인데 1년 동안 국민이 새롭게 생산한 국민소득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생산을 위해서는 기계와 설비를 사용한다. 사용한 부분만큼 그것들은 소모되고 그 소모분을 보충해 두지 않으면 생산을 계속할 수 없다. 그래서 생산된 것들 중에서 소모분의 보충에 해당되는 것을 빼야한다. 이와 같이 기계와 설비의 소모분에 충당하는 것을 감가상각 이라고 한다. 중간생산물이 이중계산되지 않도록 하여 GNP라는 총생산물을 계산하고 거기에서 감가상각비를 뺀다. 여기에서 남은 부분이 1년 동안..

Study_Box/경제 2017.02.03

[경제] 국민총생산(GNP)이란?

[GNP] 국가의 경제활동 평가기준 사람을 평가하려면 성격, 외모, 생각 등 여러 가지 판단기준이 적용되듯 경제활동의 전체적인 파악에도 필요한 개념이 있다. 국가의 경제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인 GNP(Gross National Product)는 1년을 활동기준으로 잡아서 국민의 전체 경제활동을 측정해서 나온 값이다. 단어 자체의 의미만을 살펴보면 '국민'이 National, '생산'에 해당하는 단어가 Product임을 감안해 우리말로 풀이하면 '국민총생산'이 된다. 일반적으로 '생산'이라고 하면 어떤 것을 만들어내는 행위를 말한다. 그 행위의 결과, 즉 생산된 것은 '생산물'이다. 여기에는 물건만이 아니라 서비스도 포함된다. 반대로 생산물이라고 해서 뭐든지 GNP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생산물에 ..

Study_Box/경제 2017.02.02
반응형